안녕하세요?
날씨가 추워지거나 더워지면 뭔가 움직임이 줄어듭니다. 활동은 줄어들고 먹는것은 그대로거나 더 먹게 되면 아무래도 살이 찌게 됩니다.
BMI 지수란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로써 비만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몸무게와 키로 인해서 계산을 하게 됩니다.보통 비만도가 어떻게 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알아보게 되는 지표입니다.
절대적인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는 참고가 되는건 당연한 이야기겠죠.
수동으로 계산을 해보는것도 좋지만 BMI 지수 계산기 활용을 통해서 알아보시면 좀 더 빠르게 확인이 가능합니다.이러한 서비스를 하고 있는 곳은 생각보다 많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살이 많이 찌게 되면 외모적인 문제보다도 수명이나 각종 질병들이 같이 오게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늘 건강관리는 중요한데요.
건강할 때 좀 더 신경을 쓰고 관리를 하면 좋다는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실천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관련하여 나이에 따라서 저체중은 얼마인지 정상체중은 얼마인지 또 과체중과 더불어 비만도는 어느정도 수치가 넘어가야 하는지 도표들도 많이 나와 있습니다.
이 bmi 지수 계산법 같은 경우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누면 나오게 되고 그것을 도표와 비교해서 보시면 됩니다.
즉 키가 170이고 몸무게가 70kg인경우는 70 / ( 1.7^2) = 24.2 결과값이 되겠습니다.
그럼 나와진 이 24.2란 값을 가지고 비교를 하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18.5이하면 저체중으로 분류가 되고 18.5 ~ 22.9는 정상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23~24.9는 과체중이고 25가 넘어가면 비만으로 분류가 됩니다.
수동으로 계산하는 법은 이렇고 이미 만들어져 있는 계산기를 활용을 하시면 편하게 이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19세 이하의 자녀가 있다면 나이에 비례해서 체질량지수를 비교를 해서 저체중인지 정상인지등을 알아보는것도 좋겠죠.
이러한곳을 제공하는 곳은 여러군데가 있는데 기본적으로 포털사이트등에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사용방법은 어려울 거 없이 성별과 키 체중 나이를 입력을 하시면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결과물로 저체중/정상//과체중/비만/고도비만의 범주에 어디에 속하는지 알려줍니다.
비만의 범주에 들어가면 빠른시일내에 관리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건강은 관리도 되지만 지켜야 하는것이기도 합니다.
포털 사이트가 아니라도 각 보건소 홈페이지등을 참고를 해보시면 계산기를 제공을 하고 있어서 쉽게 파악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정리를 해보자면 계산된 결과 값에 따른 표입니다. 측정하는 곳에 따라서 이러한 기준은 약간 다르니 범주를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18.5 미만 : 저체중
18.5 ~ 22.9 : 정상
23 ~ 24.9 : 과체중
25 ~ 29.9 : 비만
30 ~ 35 : 고도비만
35이상 : 초고도비만
이 기준은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bmi 지수만으로 지금 현재 건강한지 안한지를 정하는것은 100퍼센트는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는 참고를 해볼만합니다.
당연히 기본적으로 과식을 하지말고 양에 비해서 에너지가 낮은 음식 위주로 식단을 조절을 해야 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 말고 적당량의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과서적인 이야기가 되겠지만 이건 너무나 당연하지만 실천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죠.
한국은 시간이 감에 따라서 비만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5년 10년 후에는 현재보다도 더 올라갈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위에 표에도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비만은 bmi 지수가 25이상이고 고도비만은 30이상입니다.
고도비만인사람이 60세 이상 70세까지 살 확률은 정상범주의 성인보다 확연히 낮다고 합니다. 만성질환의 주 요인이 되며 백내장이나 불규칙한 생리, 통풍 및 골관절염, 당뇨나 고혈압등의 주 원인이 됩니다.
만일 이러한 경우는 다양한 질병과 우울증등이 유발이 될 수 있어서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거나 개선할 의지를 보이는것이 좋습니다.
다이어트나 운동, 식단등을 통해서 살을 빼는 고민을 해보아야 좋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