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찾기 쉽게 하는법
한자는 근래에 들어서 은근히 안 쓰이는거 같지만 그래도 또 보면 여전히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모르는것보다는 알고 있는것이 사는데 있어서 편함을 주는건 틀린것은 아닙니다.
오늘은 한자 찾기 쉽게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시중에는 쉽게 한자를 찾기 위한 서비스를 여러군데서 하고 있습니다. 기능도 대부분 비슷비슷하고 그러니 이 중에서 본인에게 맞는 서비스를 이용하시는것이 제일 좋을 거 같습니다.
그 중에서도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가 바로 네이버 한자사전입니다. 네이버 사이트에서 바로 입력을 하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직접 타이핑을 해서 찾는 경우도 있고 필기를 인식해서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찾는 방법은 정리를 해보자면 크게 두가지입니다. 한글로 입력을 해서 찾던지 아니면 내가 기억하고 있는 모양을 한 획씩 그려가면서 찾던가 둘 중 하나입니다.
결과에 대한 내용은 뜻과 획수 등에 대해서 나오게 되니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쌀 미라는 한자는 어떻게 되는지 찾아볼려면 한자 찾기 검색창에 "미"라고 입력을 하시면 실시간으로 같은 글자를 뿌려줍니다.
그 중에서 내가 원하는 문자를 선택을 하면 좀 더 상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몇 획인지 모양자는 어떻게 되는지 총 획수는 어떻게 되는지,그리고 획순까지 자세하게 볼 수 있으니 한자 공부에 정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어디서 본 한자가 있는데 이게 무슨 뜻인지 어떻게 쓰는지 알고 싶을 때는 필기체를 인식을 하는 한자 그려서 찾기를 활용을 하시면 됩니다.
검색창 옆의 펜 모양을 누르면 한자 찾기에 요긴하게 쓸 수 있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사용방법은 복잡하지도 않습니다. 내가 알고자 하는 한자가 나올 때까지 한 획식 천천히 그어보면 결국엔 찾고자 하는 부분을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원하는 글자가 나왔으면 클릭을 하면 검색창에 선택된 글자가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그리고 처음 검색을 통해서 확인을 해보았던 자세한 뜻이나 어원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을 하시면 한자 찾기는 완료가 됩니다.
저는 모르는 한자나 궁금한 한자를 찾았을 때 획순보기를 꽤 유용하게 사용을 하였는데요.
어떤 순서로 쓰는지 애니메이션과 단계별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다음 한자 사전이나 스마트폰앱의 필기 인식 기능을 통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요즘은 공부하거나 알아야 겠다고 마음을 먹으면 그와 비슷하게 제공을 하고 있는 서비스가 대부분 있으므로 어디에 있고 어떻게 쓰는지만 찾아내면 많은 공부가 되기도 합니다.
이로써 오늘은 한자 찾기 방법을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를 통해서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